학교 교육과 도심항공교통(UAM) 연계: 항공 교육 커리큘럼
1. UAM 산업 성장과 항공 교육 체계와의 불균형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은 항공, 통신, 인공지능, 전력시스템, 스마트 도시 등 복합 기술이 융합된 차세대 전략 산업이다. UAM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기체 제조, 항공관제, 정비·MRO, 자율비행 알고리즘, 버티포트 설계 등 수많은 세부 분야의 전문 인재들이 체계적으로 공급돼야 한다. 하지만 현재 국내 항공 관련 교육은 대부분 기존 고정익 항공기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UAM에 최적화된 커리큘럼은 사실상 부재한 수준이다. 이러한 간극은 산업계가 UAM 사업을 본격화할수록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2024년 기준 K-UAM 실증 사업은 도심 내 3개 노선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이미 조종사·관제사·AI 엔지니어·..
2025. 5. 20.